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나무, 네이버 편입 추진과 기와체인 출시로 주목받는 이유

by 관찰자H 2025. 9. 25.
반응형

두나무, 네이버 편입 추진과 기와체인 출시

 

최근 두나무가 국내 주요 포털과 경제 뉴스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네이버 계열사 편입 추진 단독 보도,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기와체인 출시, 그리고 글로벌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 개최 등이 있습니다.

 

또한 치열해지는 가상자산 거래소 경쟁 속에서 두나무가 보여주는 공격적인 사업 확장과 마케팅 전략도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나무가 인기 검색어에 오른 이유와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계열사 편입 추진, 시장의 파장을 불러오다

2025년 9월 25일,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과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될 것이라는 단독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 소식은 곧바로 시장을 흔들며, “국내 최대 IT 플랫폼 기업 네이버”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결합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습니다.

 

만약 이번 보도가 현실화된다면, 두나무는 네이버 그룹의 100% 자회사로 편입되어 웹3·핀테크·결제 서비스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가상자산 거래소를 넘어, 디지털 금융 플랫폼의 새로운 지형을 형성할 수 있는 중대한 변곡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기와체인 출시와 비상장 주가 급등

두나무는 9월 9일,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기와체인(Kiwa Chain)을 공개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블록체인으로, 업비트를 단순 거래소가 아닌 웹3 생태계 허브로 확장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입니다.

기와체인 발표 직후 두나무의 비상장 주가는 무려 1230일 만에 신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이는 두나무가 단순히 코인 거래에 국한되지 않고,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

두나무가 주최하는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 (UDC)는 9월 9일 서울에서 성대하게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는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디지털 자산 규제, 기술 활용, 시장 기회 등 핵심 이슈가 집중 논의되었습니다.

 

특히, 에릭 트럼프(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를 비롯한 글로벌 규제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국내외 블록체인 업계와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로써 UDC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하며, 두나무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입증했습니다.


치열한 가상자산 시장 경쟁과 두나무의 대응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현재 업비트(두나무)와 빗썸의 양강 구도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한때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은 90%에 육박했으나, 최근 빗썸이 공격적인 신규 코인 상장마케팅 확대에 나서며 격차가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이에 두나무 역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 LCK 공식 스폰서십 체결
  • e스포츠 선수 페이커 모델 발탁
  • 신규 코인 제로지(OG) 상장

이러한 행보는 단순한 거래소 경쟁을 넘어, MZ세대와 글로벌 투자자를 겨냥한 브랜드 확장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두나무 향후 전망

  1. 네이버와의 시너지 : 네이버 계열사 편입이 성사된다면, 두나무는 웹3·디지털 금융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2. 기술력 강화 : 기와체인을 중심으로 탈중앙화 앱(DApp),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 등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확장 : UDC를 통한 해외 인지도 제고와 파트너십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국내 경쟁 심화 : 빗썸, 코인원 등 경쟁 거래소들과의 점유율 경쟁은 여전히 부담 요인이 될 전망입니다.

결론

두나무는 지금 네이버 계열사 편입 추진, 기와체인 출시, 업비트 D 컨퍼런스 개최라는 굵직한 이슈들로 인해 대중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가상자산 거래소의 이슈를 넘어, 국내 IT·금융 산업 전반에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두나무가 어떤 전략으로 국내외 블록체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네이버와의 시너지를 현실화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